지메일 outlook 에서 pop3로 읽어오기
지메일 outlook 에서 pop3로 읽어오기
생활을 하다보면 메일 주소를 여러개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네이버메일, 다음메일도 많이 사용을 하지만
요즘은 구글사의 지메일도 많이 사용을 하는 것 같습니다.
메일이 한두개 같으면 상관이 없지만
확인해야 하는 메일은 많은 경우 각 사이트마다 로그인하여 확인을 한다면 귀잖을 것입니다.
그리고 관리차원에서도 그리 좋은 방법은 아니예요.
많은 분들이 아웃룩이라는 프로그램으로 메일 관리를 많이 합니다.
아웃룩에서 메일을 확인하려면 해당 사이트에서 pop3 또는 imap을 허용 해 줘야 합니다.
다행이 네이버, 다음, 지메일의 경우 아웃룩에서 메일 확인이 가능하답니다.
POP3를 지원 해 준다는 것이죠.
네이버는 간단하게 설정에서만 허용을 해 주면 되지만
지메일의 경우 조금 복잡한 과정을 더 거쳐야 정상적으로 아웃룩에서 메일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오늘은 지메일 메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지메일에서 설정
우선은 지메일 사이트에 접속을 하고 로그인을 합니다.
그럼 위와 같이 메일 함이 보일 것입니다.
아웃룩에서 테스트로 보낸 메시지가 보이네요.
메일 사용을 한지 얼마 되지 않아 스팸메일은 아직 하나도 없답니다.
화면 우측상단에 보면 톱니바퀴 모양이 있습니다.
메일 함 설정을 할 수 있는 아이콘이 되겠습니다.
클릭을 하면 기본적인 설정을 할 수 있는 레이어가 나타나는 군요.
그 중에서 상단에 보니 모든 설정보기가 있습니다.
해당 메뉴를 클릭합니다.
이제 설정을 하는 메뉴들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우리는 POP을 허용 해 줄 예정입니다.
상단의 메뉴중에 보면 "전달 및 POP/IMAP"이 있습니다.
해당 메뉴를 클릭하면
아웃룩에서 메일을 읽어 올 수 있는 첫번째 과정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POP 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것이 바로 IMAP입니다.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둘다 메일을 읽어 올 수 있게 하는 프로토콜이 되겠습니다.
차이점이 있다면 IMAP은 서버에서 직접 메일을 관리하지만
POP은 메일 서버에 있는 메일을 자신이 컴퓨터로 가져와서 관리를 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전 POP를 선호합니다.
서버에 복사본을 저장 해 놓으면 POP으로 읽어와도 서버에 남겨둘 수 있으며
해당 메일만 별도의 디비가 아닌 통합 디비에서 관리를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설명이 조금 어려운데 직접 둘다 사용을 해 보면 차이점을 알 수 있습니다.
저는 POP만 사용을 할 예정이반 IMAP도 허용을 해 놓았습니다.
위 사진에 보듯이 POP는 메일을 내 컴퓨터로 가져와서 관리를 하기에
설정을 하실 때는 사본을 받은 편지함에 보관을 할 것인지 묻는 메뉴가 있습니다.
공용으로 여러명이 관리를 하는 메일의 경우 필히 체크를 해 주셔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서버에서 메일이 사라져 버립니다. ㅠ_ㅠ
그럼 대략 난감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어요.
POP 을 허용을 해 주셨으면
지메일의 서버 정보를 아셔야 하는데요.
왼쪽에 보면 자세히 알아보기가 있습니다.
해당 메뉴를 클릭하면 서버 정보를 보실 수 있어요.
지메일의 POP서버 설정 정보입니다.
위는 참고로 imap의 정보입니다.
아웃룩에서는 지메일의 경우 서버 정보를 몰라도 자동으로 잡아 주더라구요.
참고로 제가 사용하는 버전은 오피스2010 버전입니다.
10년이 넘은 버전이 되겠네요.
이제 1차적인 설정은 끝이 났습니다.
네이버나 기타 사설 메일의 경우 위와 같이 하면 끝이 나는 경우가 많지만
지메일의 경우 위와 같이 한다고 하여 메일을 읽어 올 수는 없습니다.
몇가지 보안 설정을 건드려 주셔야 한답니다.
보안 수준이 낮은 앱의 액세스
지메일에 로그인이 되어 있으면 아래의 주소에 접속을 합니다.
https://myaccount.google.com/lesssecureapps
그런 다음 보안 수준이 낮은 앱의 액세스를 허용 해 주셔야 한답니다.
위에서 허용을 해 주셨으면 한 단계를 더 하셔야 해요.
바로 내 구글 계정에 대한 액세스 허용이랍니다.
내 GOOGLE 계정에 대한 액세스 허용
https://accounts.google.com/DisplayUnlockCaptcha
위 주소로 접속을 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여기서 계속을 클릭 해 줍니다.
그럼 위와 같이 계정 액세스 사용 설정됨이 됩니다.
이제 모든 설정은 끝이 났습니다.
이제 Outlook 이나 외부에서 지메일을 볼 수 있는 환경 설정은 끝이 났습니다.
아웃룩 설정
아웃룩에서 서버 설정을 한 예시입니다.
인터넷 전자 메일 설정의 우측하단의 "기타 설정"은 꼭 클릭하세요.
그런 다음 상단의 보내는 메일 서버에서 보내는 서버 인증 필요에 체크 해 주세요.
그런 다음 고급에 오시고 위와 같이 설정을 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하단의 배달 부분은 입맛대로 하시면 되요.
위에서도 말씀드렸다시피 공용으로 여러명이 같이 사용하는 메일 주소라면
꼭 서버에 메시지 복사본 저장을 해 주시기 바랍니다.
뭔가 조금 복잡해 보이지만 천천히 따라 해 보면 그리 어렵지 않답니다.
위 설정까지 다 하셨으면 이제 아웃룩 설정을 하시면 된답니다.
또는 아웃룩이 없고 사용방법이 어렵다면
외부 메일 가져오기 기능을 제공하는 메일 사이트에서
지메일 관리를 하실 수 있습니다.
네이버나 다음 같은 경우는 기본적으로 외부메일 가져오기를 해 주네요.
오늘은 지메일 기준으로 아웃룩에서 POP3 설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